Angelic layer
최근 수정 시각: ()
1. 개요 [편집]
2. BMS [편집]
BMS화된 곡이며, 코멘트에 "해당 곡을 제대로 BMS화시키지 못한것 같다"는 SHIKI의 푸념이 써져있다.
BMS 플레이어들에게 굉장히 친숙한 곡이다. ★4 차분 전체 중에서 플레이 인원수 3위, ★5 5위, ★12 7위 등. 특히 발광 BMS 플레이어에게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곡. 게다가 타카하시 토시유키의 별명을 따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지는 名人 차분은 2015년 기준 발광 BMS 단위인정 오버조이의 첫 번째 스테이지에 자리잡고 있었다.
BMS 플레이어들에게 굉장히 친숙한 곡이다. ★4 차분 전체 중에서 플레이 인원수 3위, ★5 5위, ★12 7위 등. 특히 발광 BMS 플레이어에게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곡. 게다가 타카하시 토시유키의 별명을 따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지는 名人 차분은 2015년 기준 발광 BMS 단위인정 오버조이의 첫 번째 스테이지에 자리잡고 있었다.
발광 BMS 난이도 체계 | |||||
차분명 | 발광 난이도 | 노트 수 | 판정 | 차분 제작자 | 참고 |
ANOTHER | ★4 | 2088 | EASY | mp | |
Reincarnation | ★5 | 2000 | NORMAL | BUN×BUN | |
Heavenly7 | ★12 | 2605 | EASY | xki | |
名人 | ★★4 | 2998 | EASY | air | |
AFO | ▼7 | 2160 | EASY | siokaze | 제2발광 |
迷人 | ◆◆8 | 2089 | EASY | 甲殻類 | LN |
DP ANOTHER | ★1 | 1698 | EASY | NEPIA | DP |
DP | ★9 | 2297 | EASY | KLOC | DP |
DP ANOTHER+ | ★10 | 2343 | EASY | NEPIA | DP |
오토플레이 영상.
名人 차분 No GOOD 영상.
발광 난이도에 수록된 차분들은 Reincarnation를 제외하고 클리어 난이도가 쉬운 편에 속하나, 오버조이 난이도에 수록 된적 있는 名人은 쏟아지는 스크래치와 손가락을 박살내는 연타로 인해 ★★4에서 어려운, 특히 키보드 유저들에게는 악몽같은 난이도를 자랑한다.
3. DJMAX 시리즈 수록 (Angelic Tears) [편집]
수록 정보 | DJMAX Online (2005) |
장르 | Trance |
BPM | 146 |
작곡 | |
BGA | KIMYS / Eter / ShininG |
DJMAX 시리즈에 라이센스 곡으로 수록되었다. 정확히는 앨범 Cristears의 3번 트랙 Angelic layer를 라이센스하여 이를 DJMAX 수록에 맞게 편곡하여 수록된 버전이다. 디맥에는 BMS화 4개월 전에 업데이트되었으므로 순서상으로는 DJMAX 수록이 BMS보다 더 앞선다.
BGA는 KIMYS와 Eter, ShininG가 작업했다. 여담으로 BGA에 나오는 캐릭터는 Hypersonic에 나온 캐릭터이며,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해당 곡에 사용된 BGA의 일부 모션 그래픽이 훗날 DJMAX Portable 2의 선곡 화면에도 사용되었다.
3.1. DJMAX 온라인 [편집]
[kakaotv(vCHb4FnjC40$@my)]
5K HD
난이도는 12고, 피아노와 베이스 부분을 위주로 패턴이 짜여져 있으며 10레벨 치고는 무난한 편.
5K HD
난이도는 12고, 피아노와 베이스 부분을 위주로 패턴이 짜여져 있으며 10레벨 치고는 무난한 편.
3.2. DJMAX RESPECT & V [편집]
| ||||||||||||||||||||||||||||||||||||||||||||||||||||||||||||||||||||||||||||||||||||||||||||||||||||||||||||||||||||||||||||||||||||
RESPECT/V | ||||
Angelic Tears | ||||
모드 | NM | HD | MX | SC |
4B | ||||
5B | ||||
6B | ||||
8B | ||||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시즌 6 무료 신곡으로 등장하였다. DJMAX RESPECT 내에서 온라인 시절의 라이센스 곡이 수록된 첫 사례이자 유이한 RESPECT/V 카테고리에 있는 BMS 출신이다.[1] 곡이 끝난 후, 작곡가인 SHIKI에 대한 추모의 의미로 We Remember You라는 문구가 띄워지면서 마무리된다. SuperSonic을 이은 제작진의 작고한 아티스트를 향한 헌사 그 두번째.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6 → 8[2], 5B 7 유지, 6B 9 유지, 8B 12 → 10) 특이사항으로 5B, 8B SC에서는 롱노트가 하나도 나오지 않는다.
3.2.1. 4B TUNES [편집]
NM | HD |
MX | SC |
4B SC의 경우 SC 6이라는 표기 난이도에 비해 상당히 어렵다. 초반부터 롱잡이 등장하고, 1212-3434가 산발적으로 등장하는 폭타, 중반부 오블락 트릴에서 이어지는 계단, 이후 등장하는 연타와 13-24 배치의 트릴, 후반부 밀도가 높아지는 폭타 등 도무지 6으로 보기 힘든 난이도이다. 아무리 비는 구간들이 많다지만 최소 8이 적절하다.
3.2.2. 5B TUNES [편집]
NM | HD |
MX | SC |
5B SC 또한 7이라는 표기 레벨에 비해 노트 밀도가 높고 패턴이 복잡해 어려운 편이다. 특히 중반부 오블락 트릴 직후 24비트 왕복 계단이 킬링 파트. 직후 나오는 13-35 패턴도 직전 13 동시치기를 왼손 1 오른손 3으로 처리한다면 바로 나오는 연타에서 손배치가 매우 부자연스러워지기 때문에 해당 패턴에서는 가변 없이 좌우 3/2나 2/3으로 넘어가는 것도 나쁘지 않다.
3.2.3. 6B TUNES [편집]
NM | HD |
MX | SC |
6B SC는 1:08초부터 등장하는 연타 섞인 폭타가 꽤나 어려운데, 특히나 1:22초 부분의 3322와 445566과 같은 원핸드 연타는 정확히 처리하기 상당히 힘드므로 주의. 밀도가 낮은 편도 아니고 노트 수 또한 많기에[3] SC 9레벨로 보기 힘든 채보. 유저들 사이에서는 SC 11 수준의 패턴으로 평가하는 중.
3.2.4. 8B TUNES [편집]
NM | HD |
MX | SC |
8B SC는 Xeus 및 최근 Airlock에서 등장한 바 있는 후반의 겹트릴 폭타와 중반에 등장하는 일반 겹노트 2연타가 난이도 요소가 된다. 트리거의 비중도 적은데다가 트리거를 꼬아놓은 부분이 거의 없다시피 하고, 후반 겹트릴 폭타의 밀도도 그닥 높은 편이 아니라 건반 파트에 숙련된 유저라면 12레벨 중에선 어렵지는 않다고 느낄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겹노트 2연타는 건반 파트에 숙련된 유저라 하더라도 처리가 꽤나 까다로우므로 주의. 의도적으로 키음을 빼거나 간소화시킨 구간이 너무 많고, 극단적으로 특정 패턴에 치중된 난이도 구성 때문에 채보에 대한 평이 그다지 좋지 않다.
[1] 다른 하나는 XeoN의 Airlock.[2] 2.0 업데이트 당시에는 7레벨이었으나 시즌 16에서 8레벨로 상향.[3] SC 12레벨로 책정된 8B SC보다도 43개가 더 많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